VIIM
청각장애인 환자를 위한 외래 진료 지원 시스템
Outpatient Care Support System for Hearing-impaired Patients
VIIM은 AI 기반 기술을 활용하여 청각장애인 환자가 제3자의 개입 없이 접수부터 처방까지 외래 진료의 전 과정을 능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합니다. VIIM의 혁신적인 솔루션을 통해 청각장애인의 의료 서비스 접근성을 높이고 독립적인 의료 경험을 가능하게 하며 의료 소통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키는 데 기여합니다.
Overview
의사소통의 장벽으로 인한 의존적 진료에서 벗어나기 위해
청각장애인 환자는 진료를 받을 때, 의사와의 의사소통 매개체가 필수적이며, 수어통역사를 대동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이로 인해 장애인 당사자보다 통역사와 대화하게 되어 환자에 대한 집중도가 떨어지고, 환자의 증상과 의사의 답변을 전적으로 통역사에게 의존하게 되는 한계가 발생합니다. 이러한 상황은 의사소통의 어려움으로 인해 의존적이고 관성적인 진료로 이어집니다.
이미지
Problem
청각장애인 환자들이 진료 중 의사소통 어려움을 느끼는 순간
청각장애인 환자의 병원 동행을 통해 관찰한 결과, 입장할 환자의 장애 유형에 대한 정보가 의료진에게 전달되지 않아 진료 시작 시 소통이 지연됩니다. 의사의 기본 증상에 대한 질문을 하기 어려워하며, 환자는 휴대폰 메모 혹은 개인 노트를 통해 정보를 전달하게 됩니다.
더불어 청각장애인은 손짓이나 비언어적 표현으로 통증을 전달해야 하는데, 이는 정확한 의사소통을 방해하여 진료 과정에서 혼란을초래합니다. 이러한 요소들은 청각장애인 환자의 진료 경험을 어렵게 만들며, 보다 효과적인 의사소통 방법이 필요함을 시사합니다.
이미지
Opportunity Finding
청각장애인 환자와 의사 모두에게 놓인 의사소통 문제
청각장애인 환자가 통증을 효과적으로 전달하지 못함에 따라 의료진은 환자의 상태를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고, 통증을 객관화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진료 시간이 지연됩니다. 이러한 문제는 결국 환자의 치료 품질과 의사의 진료 효율성을 저해합니다.
Key Features
청각장애인 환자를 위한 새로운 의료 경험
VIIM은 환자가 통증을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통증 양상 그래픽과 정보를 직접 선택하게 하여 소통의 용이성을 높입니다.이에 더해 환자의 기본 데이터와 통증 히스토리를 AI 질병 예상 리스트와 연계하여 의사의 진단 과정을 보다 효율적으로 지원합니다.진료 시에는 환자와의 쌍방향 소통을 통해 존중받는 느낌을 주어, 보다 친밀하고 효과적인 의료 경험을 제공합니다.
이미지 이미지
접수 및 진료 디스플레이를 통한 심리스 진료
이미지
접수 디스플레이
진료 접수 시 요구되는 중요 정보를 시각적으로 안내함으로써, 보호자의 개입 없이 환자가 주체적으로 진료 접수 과정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는 환자가 필요한 정보를 이해하고, 자신의 증상에 대해 정확히 전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진료 디스플레이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환자가 의사와 마주보고 원활하게 소통할 수 있는 의료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을 설계했습니다. 이는 환자가 자신의 증상 및 상태를 주체적으로 보고하고 치료 과정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이미지
Patient Registration
01. 스스로 진행하는 환자 중심의 진료 접수
청각장애인 환자는 병원 방문 목적과 자신의 증상을 표현하기 어려웠던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VIIM 접수 디스플레이를 통해 자신의 증상과 주관적 통증 데이터를 직접 입력하여 진료를 접수합니다. 이 시스템은 제3자의 개입 없이 이루어지기 어려웠던 의료진과의 의사소통을 최소화하여, 환자가 자율적으로 진료 접수를 진행할 수 있게 합니다.
신분증 인식을 통한 효율적 진료 접수
환자가 진료 접수 시 신분증 인식 기능을 활용하여 초진 및 재진 환자를 자동으로 분류하고, 환자의 병력 여부와 국적도 판단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 유형에 맞는 안내를 제공하여 언어 장벽을 최소화하고 진료 과정을 원활하게 합니다.
환자 맞춤형 언어 옵션 제공
환자의 장애 유형과 국적에 따라 제공되는 언어 옵션을 조정하여, 환자가 이해하기 쉬운 방식으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환자는 자신의 상태에 맞는 맞춤형 정보를 손쉽게 이해하고, 의료 경험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
청각장애인을 위한 통증의 시각화
통증 양상을 표현하기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통증 3D 그래픽을 제공합니다. 환자가 주관적으로 경험한 통증의 느낌과 유사한 그래픽을 선택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이 시각화 시스템은 환자가 자신의 통증을 명확하게 표현함으로써, 의사소통의 장벽을 완화합니다.
의료진의 환자 통증 이해 증진
환자는 다양한 통증 유형을 나타내는 3D 그래픽을 통해 자신의 통증을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의료진은 환자의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접근은 환자가 자신의 통증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돕고, 진료 과정에서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만들어 의료 경험을 개선합니다.
통증 히스토리 질문을 통한 진단 지원
환자의 예상 질환을 파악하기 위해, 환자가 입력한 통증 위치와 양상에 기반하여 통증 히스토리 질문이 실시간으로 제공됩니다. 이 과정에서 통증 강도, 유발 시점, 지속 시간 등 진단에 필수적인 통증 데이터를 수집하며, 환자의 주관적인 통증 경험도 함께 기록됩니다.
환자의 예상 질환 목록 제공
통증 히스토리 질문을 통해 수집한 정보를 바탕으로 컴퓨터 비전 기술을 활용하여 예측된 환자의 질환 목록을 제시합니다. 이 질환 목록은 의사에게 신체 진찰 및 필요한 검사 종류와 같은 후속 조치와 함께 전달되어 진단 과정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미지
Waiting for treatment
02. 시각과 촉각으로 안내받는 진료 대기
청각적 정보로만 전달되어 대기 예상 시간과 대기 시간 지연 사유 등의 필수 정보를 안내받기 어려웠던 대기 단계를, 시각과 촉각의 다감각 정보를 활용하여 청각장애인 환자에게 직접 안내하는 VIIM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는 환자가 정보의 누락 없이 자신의 대기 상황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이미지 이미지
Consultation · Diagnosis
03. 언어 장벽 없는 진료 시간
의사와의 의사소통 장벽으로 인해 관성적 진료에 머물렀던 기존의 상황을 개선하고, VIIM 진료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한 없는 의사소통이 가능합니다. 보호자를 통한 간접 소통이 아닌 직접 소통으로 이루어지는 진료는 환자가 자신의 증상을 보다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게 하며, 이는 의사가 개인화된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데 기여하여 전반적인 의료 경험을 향상시킵니다.
이미지
환자 정보 자동 전달로 진료 준비의 효율화
환자가 접수 디스플레이에 사전 입력한 통증 정보와 통증 히스토리 내역은 의사 PC로 자동으로 전달됩니다. 이를 통해 환자가 진료실에 입장하기 전에 의사가 환자의 장애 여부 및 통증 유형 등을 미리 인지하고 진료를 시작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체계적인 진료를 위한 맞춤형 치료
상위 예측 질환 목록을 제공받아 환자의 진료를 보다 체계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합니다. 의료진은 환자에게 필요한 추가 검사를 사전에 계획할 수 있으며, 통증 양상 및 병력에 기반한 맞춤형 치료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진료가 가능해집니다.
수어의 디지털화로 허무는 언어 장벽
청각장애인 환자의 의사소통을 지원하기 위해, VIIM 진료 디스플레이는 환자의 수어 모션과 표정을 정밀하게 트래킹하여 비수지 기호를 수집합니다. 수어는 구문 구조와 맥락에 맞춰 실시간으로 텍스트로 변환되어 의사에게 전달되어, 의사와 환자 간의 원활한 소통을 이끌어냅니다.
카메라로 포착된 환자의 표정과 신체 움직임 데이터는 정교하게 분석되어 통증의 위치와 정도 등 중요한 의료 정보로 변환됩니다. 이 과정은 환자의 감정 상태와 신체 언어를 반영하여 보다 정확한 진단을 가능하게 하며, 결과적으로 의사는 환자의 통증을 보다 객관적으로 이해하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검사 과정 및 진단 내용의 시각적 안내
VIIM 진료 디스플레이는 진료 내용을 바탕으로 환자에게 어떤 검사가 진행되는지를 안내하고, 청진기와 인후 검사 중 환자가 취해야 할 행동과 자세를 시각적으로 제시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는 기존에 의사와 보호자 간의 소통을 통해서만 전달받을 수 있었던 진료 및 검사 과정을
보호자의 도움 없이 독립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합니다. 또한, 환자가 검사 과정을 잘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정확한 검사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는 신속하고 적절한 치료 계획 수립으로 이어집니다.
환자가 직접 선택하는 의사소통 방식
환자는 수어, 필담, 음성의 세 가지 방식 중 자신이 편리한 소통 방식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선택한 소통 방식에 따라 진료 과정이 개인화되며, 이는 환자의 이해도를 높여 보다 효과적인 진료 환경을 조성합니다. 맞춤형 소통 방식은 청각장애인 환자뿐만 아니라 다양한 환자들에게도 의료 접근성을 향상시킵니다.
필담 소통을 위한 쾌적한 환경
필담 방식을 선택한 환자는 VIIM 디스플레이에서 자동으로 펜슬이 나오는 시스템을 통해 손쉽게 필담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진료 디스플레이에 내장된 빔 프로젝터를 활용하여 진료실 책상 위에 필담할 수 있는 전용 영역을 제공합니다.
이미지
Payment for treatment and prescription
04. 환자의 이해도를 높이는 진료 수납과 처방 안내
보호자의 전달이 필수적이었던 진료 진단서 및 처방전 관련 정보를 환자가 직접 확인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하여 환자의 인지도를 향상시킵니다. 이를 통해 환자는 자신의 건강 상태와 치료 계획에 대한 명확한 내용을 파악하게 됩니다. 또한, 진료비 결제 절차와 처방 약국에 대한 구체적인 안내도 함께 제공하여 환자가 스스로 의료 과정을 마무리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주변 약국 정보 제공 시스템
진료비를 수납한 후, 환자는 자신이 처방받을 수 있는 주변 약국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기존에 구두로만 전달되던 장소 정보를 모바일 앱과 연동하여 제공함으로써, 환자가 필요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합니다.
환자가 병원을 나온 이후에도 자신의 의료 경험을 완결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처방약을 신속하게 수령하고 치료 과정을 원활하게 이어갈 수 있도록 돕습니다. 따라서 환자는 병원에서의 진료를 넘어 약국에서의 경험까지도 마무리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 이미지
Anticipated Effects
기대 효과
VIIM은 진료 사각지대에 놓인 청각장애인 환자들이 타인에 의존하지 않고 주체적으로 의료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환자는 자신의 통증을 자율적으로 표현하고, 진단 정보를 직접적으로 얻어 의료 경험이 향상됩니다. 장애 유형별 맞춤형 지원을 통해, 의료진과의 원활한 소통이 가능해져 진료의 질이 높아집니다. VIIM은 청각장애인 환자에게 포괄적인 의료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합니다.
이미지
Designed by
김수연 Sooyeon Kim
endendtndus2@gmail.com
김지윤 Jiyoon Kim
kjy00331@korea.ac.kr
이윤정 Yunjung Lee
dbswjd0126@korea.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