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의 시작과 끝은 미리 알 수 없다. 불현듯 시작되어, 쉽게 중단하기도
힘들기 때문이다.
사랑에 묶인 인간은 강하다. 동시에 나약하다.
사랑해야 할 것을 사랑하지 않거나, 사랑해서는 안 되는 것을 사랑하여
고통을 자처한다.
사랑으로 인해 다양한 문제의 시발점이 생긴다.
사랑은 정신을 각성케 하고, 동시에 무색하게 하는 힘이 있다.
사랑은 황홀하면서도 괴로운, 모순으로 점철된 감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삶의 끝에 남는 것은 결국 지독하게도 질긴 사랑뿐이다.
사랑했던 순간의 짧은 기억으로 평생을 버티기도 한다.
나는 표현한다.
감정의 대상을 꽃에 빗대며 경험한 적 없는 애정을 상상하고, 후회스러운
기억조차 잊지 않으려 잔상을 조합한다. 사랑했던 모든 것을 놓지 않기
위해 그린다. 사랑하는 모든 존재를 계속 사랑하기 위해 그린다. 그는 나의
첫 번째 변수이자 변곡점이다. 그 시절 이해할 수 없던 내 행동의 동기는
대부분 그의 존재로 귀결되곤 했다. 혼란 속의 짜릿함, 그러나 온전히
파악할 수 없는 정체 모를 감정. 그의 탄생화인 아네모네에는 “당신을
사랑합니다”라는 꽃말이 담겨 있다. 그림에 지속적으로 등장하는
아네모네는 그를 의미한다. 은밀하되 은근하게 마음을 외친다. 들키지
않으려 태연한 척하며, 속으로는 불안해하고 애태우는 나를 드러냈다.
그 시절 나의 사랑은 곰팡이와도 같았다. 구석진 곳에서 남몰래 서서히
피워내고, 지우고 없애려 노력해도 결국 의지와 상관없이 계속 자라났다.
내 사랑의 끓는점은 낮다. 다양한 것을 아끼다 못해 사랑해 버린다. 사람,
물건, 장소 등 소재를 가리지 않고 사랑한다. 사랑을 경험하며, 성숙한
나와 동시에 바보스러운 나를 자주 마주 보아야 한다. 나의 사랑은 예측과
계산이 아닌 헌신을 양분으로 흘러가기에, 스스로를 이해할 수 없는 순간과
직면해야 한다. 내 그림에는 예측할 수 없는 감정의 소용돌이 속에서
마주하는 다양한 페르소나와 뮤즈가 있다.
The beginning and end of love are unpredictable. It starts suddenly
and is difficult to stop. A person bound by love is strong. At the
same time, they are vulnerable. Humans either suffer from not loving
what should be loved, or loving what shouldn’t. Love becomes the
starting point of various struggles. Love has the power to awake one’s
mind, then to make it colorless. Love is an emotion full of
contradictions, carrying both bliss and pain. And despite all that, at
the end of the day life is nothing but unbreakable persistent love.
One brief memory of love can be enough to sustain a lifetime.
I express.
I allude the subjects of my emotions to flowers, I imagine affection
I’ve never experienced, and then combine the afterimages to make sure
even regretful memories aren’t left forgotten. I paint to hold onto
everything I’ve ever loved. I paint to continue loving every being I
am in love with now. He was my first variable and turning point in
life. The motivation of so many of my unexplainable actions at the
time would often stem from him. The confusing thrill, the indefinable
emotion. His birth flower, the anemone, symbolizes “I love you.” The
anemone, which keeps appearing in my paintings, represents him. It is
a subtle, yet consistent declaration of my feelings. I hide behind
indifference to avoid being detected, while revealing the anxious and
restless part of me. My love at that time felt like mold. It bloomed
secretly in hidden corners, and no matter how much I tried to get rid
of it, it continued to grow against my will.
The boiling point of my love is pretty low. I end up loving everything
I cherish in life. People, objects, places, I love all these
indiscriminately. In love, I often face both the mature and the
foolish sides of myself. In love, I often fail to understand my own
self, as my love flows nourished by my inner devotion, not predictions
or calculations. My paintings depict various personas and muses that
emerge from the unpredictable whirlpool of my feel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