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Fragmented Archive
'로봇이 아닙니다' -문제 해결 결과
The result of solving the 'I am not a robot' problem
기억이라는 것은 가장 인간적인 영역, 침범할 수 없는 사적인 역사다. 불완전하지만, 인간 정체성을 구성하는 핵심적인 부분이다. 예전 대중매체에서 등장했던 사이보그는 지금은 현실이 되었다. 이러한 사이보그는 인간과 기계의 경계를 위반하고 있다고 느낀다. 인터넷 속에서 ‘로봇이 아닙니다’-라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인간 고유의 것으로 생각되는 지적 능력을 인공지능에 학습시키는 기묘한 행위이다. 미래의 인간에게는 무엇이 남을까? 그래서 나는 첫 문장으로 돌아간다. 인간이기에 우리는 불투명한 기억을 가진다.
이전 프레임이 다음 프레임에 영향을 미치는 데이터모싱 기법에서 영감을 받아 불완전하고 부정확한 기억을 계속해서 덮어쓰는 인간을 표현하려 3D scanning 방법을 이용했다. 디지털 이미지였던 피규어는 화면에서 뛰쳐나와 여기에 있다. 카메라는 움직이며 기록한다. 현실에서 눈이 사물을 인식하는 과정의 오류를 촉각으로 경험하며 수정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데이터를 3D모델로 옮긴 후, 이 파일을 해체하는 과정이 내 작업의 스케치에 해당한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수작업으로 마무리된다. 디지털 이미지가 물질로 전환되며 생기는 작은 틈들을 포착해, 이를 통해 새로운 차원으로 확장시켜 나간다.
내가 소재로 선택한 피규어는 흑백 만화(원본)를 현실에 가져오기 위함이다. 수많은 사람이 참여하면서, 원작의 모사를 시도하나 변형되기도 한다. 개개인의 번역을 거친다는 점에서 피규어는 매력적이다. 이번 작업에서 나는 불가피한 번역 사이의 예술적 생성을 목표로 했다.
내 작업 속 디지털 이미지들은 현실의 완전한 재현을 목표로 하지 않는다. 나의 파편적인 기억을 물리적으로 붙잡는 행위일 뿐이다. 기억을 잘게 잘라내어 붙이는 과정 속에서 나는 수행자이다.

Memory is the most human of territories, a private history that cannot be invaded. Though imperfect, it is a key part of what defines human identity. The “cyborg” once depicted in popular media has now become a reality. We now feel that these cyborgs are blurring the boundaries between human and machine. Solving the “I’m not a robot” challenge online is a strange act of teaching artificial intelligence the intellectual abilities once thought unique to humans. What will be left for humans in the future? So I return to the very first sentence. Being human, we carry opaque memories. Inspired by the datamoshing technique, where one frame affects the next, I used 3D scanning to portray the human tendency to continuously overwrite incomplete and inaccurate memories. The figure, once a digital image, emerges from the screen into the physical space. The camera moves and records, and tactile experiences correct the errors that occur when the eye perceives objects in reality. After transferring the data to a 3D model, the process of deconstructing this file becomes the sketching phase of my work. The final stage is completed by hand. I capture the subtle gaps that arise as the digital image transforms into a physical object, extending it into a new dimension. The figure I chose serves to bring a black-and-white cartoon (its original form) to life. As many people participate, they attempt to replicate the original, but variations inevitably arise. Figures are fascinating because each one is shaped by individual interpretation. In this work, I aimed to create art within the inevitable space of translation. The digital images in my work do not target a perfect replication of reality. It is merely an attempt to physically grasp fragments of my memory. In the process of fragmenting and reassembling memories, I am a performer.
The Fragmented Archive-01
The Fragmented Archive-02
The Fragmented Archive-03
The Fragmented Archive-04
The Fragmented Archive-05
Comic Remnants-001
Comic Remnants-002
Comic Remnants-003
Comic Remnants-004
Made by
류승아 Seung-a Ryu
agnuesuyr@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