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ame
영상업계 프리프로덕션 단계를 위한 협업툴
Collaboration tool for pre-production
다양한 업무가 동시다발적으로 이루어지며, 복잡한 이해관계를 가진 영상업계는 여전히 과거의 시스템에 머물러 있다. Frame은 이러한 영상업계의 업무 프로세스 중,기획 단계에 해당하는 프리프로덕션의 비효율적인 업무와 커뮤니케이션의 단절을 해결하고, 기존의 제한적인 업무 환경을 뛰어넘는 디지털 워크스페이스를 제공하여 영상 창작의 혁신을 도모한다.
Overview
Background
업무의 디지털화는 편리함과 효율을 바탕으로 시장에 빠르게 확산되었다. 그 일률적인 혁신은 각기 다른 업무 환경에 유연하게 적용되지 않아 오히려 비효율을낳기도 한다. 특히, 타 산업 분야와 접점이 많고, 관여 업무가 방대한 영상업계는 기존 디지털 워크플레이스만으로는 효율적인 업무 환경 개선이 쉽지 않다.
Point
Target segmentation
Solution
About
Frame
프레임은 스크린에 영사되는 사각형의 틀을 의미한다. 영화는 ‘선택’과 ‘배제’의 예술이기에, 어떠한 장면을 프레임 속에 표현할 것이고 표현하지 않을지결정하는 것이중요하다. 이러한 의미를 담은 Frame은 영화의 프레임워크(framework)인 프리프로덕션에서의 협업을 위한 툴이다.
영상은 빛을 이용하는 예술이기에 현장에서 스크린의 빛에 의한 업무 방해를 최소화 하기 위하여 blackish 및 dark grayish 톤을 중심으로 디자인을전개하였다. 또한, 포인트 컬러로 Cyan을 사용하여 아이덴티티를 확립함과 동시에 UI에서 텍스트의 가시성과 중요도를 모두 높일 수 있다.
Frame의 전반적인 UI는 프레임의 직각적인 이미지를 메타포로 삼아 각진 형태를 사용하였고, 아이콘에서도 이에 어울리는 각진 획을 사용했다. 단순하고 현대적인디자인언어로 설계한 각 아이콘들은 본질적인 특성을 그대로 표현함으로써 의미하는 바와 기능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참고해야 할 자료와 업무 범위가 넓어 모바일로의 한계가 존재함 동시에 업계 특성상 장소 이동이 잦고, 짐이 많기에 효율적인 Tablet Computer 형식의디바이스를 사용한다. 즉각적인 소통과 정보 전달이 중요한 현장에서는 모바일 앱을 통해 업무 편의를 증대한다.
핵심 정보가 한눈에 들어오는 Dashboard 형식의 인터페이스와 위젯형 도구를 Drag&Drop 하여 원하는 크기와 형식으로 배치할 수 있음으로써 모든이해관계자가부서의 성격이나 각자의 업무 및 디지털 활용 성향에 따라 자유롭고 간편하게 업무 환경을 구성할 수 있다.
Information Architecture
Application
Feature 1
효율적인 업무 인터페이스
이해관계자가 많고, 업무 범위가 방대한 것과 같은 영상업계 특성에 적합한 협업 기능을 제공한다. 나만의 업무 환경을 구성할 수 있는 워크스페이스.업무 사이의 관계성 및 진행 상황, 세부 일정을 쉽게 파악하고 협업 및 업무 분배를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타임라인과일일촬영계획표.제작팀원이 직접 수행하지 않아도 전산 상에서 업무를 쉽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명령과증명 및 제출 기능을 제공한다.
Feature 2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업무 스타일 및 성향이 유사한 파트너를 만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나의 프로필과 My Frames을 통해 진행했던 프로젝트들을 한 눈에 볼 수 있다.구인구직을 위한오픈 커뮤니티 Framers에서는 다양한 사람들을 필터링하여 잘 맞는 파트너를 고를 수 있다. 프로젝트가 끝난 뒤의 동료평가는 추후 이루어질 프로젝트에서 마음이 잘 맞는 동료를 쉽게 찾을 수있도록하는 중요한 DB가 된다.
Feature 3
체계적인 디지털 업무환경 도입
업무 디지털화와 활발한 DB 활용을 통해 체계적인 업무 프로세스를 확립한다. 노트테이킹 기능을 활용하여 화면 연출에 대한 전반적인 계획을 자유롭게 정리할 수 있는시나리오뷰어. 카드 형식의 UI로 플롯 파악 및 연출 아이디어 구상, 기타 부서별 업무에 활발하게 활용될 수 있는 씬 카드보드. 키워드 및 레퍼런스 이미지를 기반으로 로케이션 추천 리스트를 제공하는로케이션 등의 기능이 있다.
Feature 4
발상과 표현
콘티에디터는 AI를 통해 입력된 연출 설정과 로케이션 3D 공간 정보를 학습하여 이미지 콘티를 자동 생성한다. 콘티 정보를 기반으로 가상현실 스튜디오에서 2가지모드를활용하여 촬영 동선과 구도, 조명 및 카메라 배치 등의 각종 에셋을 배치하고, 어떻게 표현될지 미리 테스트하여 프리프로덕션과 프로덕션 사이의 괴리감을 줄여 철저한 콘티 제작과 효율적인 연출 의도전달및 검증을 도와준다.
전은지 Eunji Jeon
정수현 Suhyun Jung
정인지 Inji Jung